이번에는 오라클 계정 생성을 해볼려고 한다.
오라클 처음 설치시 생성되는 sys , system 계정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
관리자만 사용하고 그외 사용자들에게는 계정을 부여 하여 계정별로 권한 제어를 할 수 있다.
1. 계정 생성하기
- TUSER란 계정을 생성 한다.
- 생성 후 해당 계정으로 접속 확인
(계정은 생성되어 있으나, 계정에 권한이 없어 접속이 안된다.)
2 권한 생성 ( 권한은 많은 권한이 있지만 접속 할 수 있는 권한만 준다. )
- 1번에서 생성된 TUSER에 접속 권한 주기
- TUSER로 접속 확인
계정 생성 및 접속 권한 주는 내용을 정리했다.
★ 스크립트 정리 ★
- 사용자 생성 : CREATE USER TUSER IDENTIFIED by tuser;
- 접속 권한 생성 : grant create session to TUSER;
★ 그외 권한 정리 ★
- 사용자에게 오브젝트 권한 부여
> 형식 : GRANT [OBJECT_PRIVILEGE] ON [OBJECT] TO [USER_NAME];
> 예 : GRANT SELECT ON TABLE1 TO TUSER;
> 설명 : TUSER계정에 TABLE1테이블의 SELECT 권한 부여
> 추가 : SELECT 대신 ALL로 할경우 SELECT , DELETE , INSERT , UPDATE 모든
권한을 부여함.
'관심1 > 오라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라클 DML(Date Manipulation Language) 알아보기 (0) | 2016.10.31 |
---|---|
오라클 딕셔너리테이블뷰 확인 (0) | 2016.10.27 |
오라클 테이블 생성 및 데이터 타입 (0) | 2016.10.25 |
오라클 접속 툴(디벨로퍼) 사용 (0) | 2016.10.23 |
오라클 11g 설치 (0) | 2016.10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