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번에 cygwin 설치하여 Windows OS 에서 유닉스를 사용해 보았습니다.
하지만, SunOS / AIX / HP-UX / Linux 서버에 접속해서 작업할 경우
사용할수 있는 프로그램중 무료 프로그램이면서 가벼운 프로그램이 putty 입니다.
putty 다운로드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Putty 다운로드
- http://www.chiark.greenend.org.uk/~sgtatham/putty/
2. Putty 실행
- 다운로드만 하면 설치는 따로 필요 없습니다.
- 아래 아이콘을 더블클릭 하면 실행 됩니다.
3. Putty Configuration (접속정보 설정)
- Host Name(or IP address) : 접속 서버에 IP주소
- Port : 서버에 포트
- Connection type : 연결 타입 (연결타입 선택시 포트가 셋팅 됩니다.)
- Load : 앞에 리스트에 선택 후 Load 누를경우 Host Name에 ip와 port 가 저장된 값으로 셋팅됨
- Save : host name 에 IP 및 port 작성후 saved Sessions 이름 지정 후 저장을 하면 옆에 리스트에 추가됩니다.
(자주 접속하는 서버에 대해서 저장해 놓으면 리스트에 더블클릭으로 바로 접속 할 수 있습니다. )
- Delete : 리스트에 있는정보중 선택한 데이터를 삭제 합니다.
- Open : host name , port 정보를 가지고 서버에 접속 합니다.
4. Login(로그인)
- id 입력 후 password 입력 하면 아래 그림처럼 로그인이 됩니다.
5. 화면 설정 (타이틀에서 마우스 우클릭)
- New Session : 새 Putty Configuration 창이 열립니다.
- Duplicate Session : 로그인 창이 새로 열립니다.
- Save Sessions : 리스트가 출력되고 선택시 해당 설정해놓은 서버로 접속됩니다.
- Change Settings : 설정창이 열립니다.
- Copy All to Clipboard : 화면을 전체 복사하여 클립보드에 저장해놓습니다.
- Clear Scrollback : 스크롤이 클리어됩니다.
- Reset Terminal : 화면이 클리어됩니다.
- Full Screen : 전체화면으로 확대됩니다.
- About Putty : Putty 정보에 대해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6. Change Settings (설정 변경)
- 한글정보 셋팅 ( 기본은 utf-8로 설정되어 있음 )
- putty 창의 스크롤 라인수 (많은 양의 로그를 볼때는 숫자를 늘려서 사용해야 모두 볼수 있다.)
'관심1 > UNI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ix sort, head , tail 알아보기 (0) | 2016.12.15 |
---|---|
Unix 유틸(find,grep) 알아보기 (0) | 2016.12.12 |
유닉스(UNIX) VI EDITOR 알아보기 (0) | 2016.11.17 |
유닉스 파일 권한(File Permissions) 알아보기 (0) | 2016.11.13 |
기본 디렉토리 구조 및 경로 알아보기 (0) | 2016.11.13 |